광기전력계에서 인듐 황화물
- 전문가 제언
-
○ 많은 기술로 성장한 인듐 황화물로 버퍼 된 Cu(In,Ga)Se2를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는 (CBS)CdS로 버퍼 된 표준 디바이스로 이뤄진 것에 비등한 효율을 달성하였다.
○ 인듐 황화물 단결정의 성질을 검토하고 박막 성질과의 차이를 지적하여 인듐 황화물 내 약간의 이종 원소 첨가는 성질에 영향을 준다. 특히 낮은 농도일지라도 이종 원소는 단결정에 비교하여 박막성질 편차의 원인임을 보이고 있다. 오염물질의 적은 양이라도 필름의 광학적, 전기적 성질에서 넓은 변화를 일으킨다. 본 논문은 앞으로 태양전지 제작에 유익한 도움을 주는 연구이다.
○ 국외에서는 2007년 Bouabid 등이 “플래시 증발에 의한 In2S3 박막의 어닐링 효과”, 2008년 Badir는 “In2S3 필름의 광학적, 구조적 성질에 공기 어닐링 효과” 그리고 최근 2009년 Mathew 등은 “In2S3:Ag, 박막 태양전지에 대한 이상적인 버퍼 층”에 대한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 국내에서는 2006년 박계춘, "구리인듐황화물/구리갈륨황화물 이종접합소자“ 그리고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유기화학기상성장에 의한 CuInS2박막 제조 방법“에서 In2S3 박막 제조 방법 등이 한국등록특허가 있다. 또한 2008년 Ahn, S 등은 ”나노입자 선구 물에서 Cu(In,Ga)Se2 박막 태양전지“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 이와 같이 국외에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태양전지 버퍼 층 특히 In2S3 박막의 연구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 대체 에너지로서 태양전지 개발 연구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 Cu(In,Ga)Se2/In2S3 성장을 위한 많은 기술이 있지만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가 요구된다.
○ 연구실에서 최소의 오염물질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PVD 기술이 있으나 대량 그리고 산업화를 위한 특단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돼야 한다.
- 저자
- N. Barrea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83(3)
- 잡지명
- Sol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63~371
- 분석자
- 문*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