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철분강화식품이 빈혈증에 미치는 효과(The impact of iron fortification on nutritional anaemia)

전문가 제언
□ 철분 영양결핍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빈번한 영양장애이고 약 20억의 인구가 경험하고 있으며 선진국가라 하더라도 여성은 항상 관심을 가져야 하는 영양성분이다. 또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철분 강화방법은 다른 어느 영양소 보다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철분결핍증 발생을 확실히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수십 년 동안의 국제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도 가장 빈번한 영양장애는 철분 결핍증이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조사된 표본 중복에 의한 오류, 종족간의 정상 헤모글로빈 수준의 차이, 말라리아나 다른 감염성 질병에 의한 빈혈발생 등에 의한 철분결핍증 발생률의 부정확성이 있었으며 사용되는 철 공급제의 생체이용률이 불량하거나 첨가 수준이 너무 낮거나 철분을 부적절한 식품재료에 첨가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 실제 개발도상국가에서 무리 없이 철분강화시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체내 철분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더욱 정확한 방법 및 혈청 트랜스페린 수용체 측정 표준화가 필요하고, 이러한 indicator를 적용하기 위한 더욱 대표성을 가지는 모집단의 표준화도 요구된다. 아울러 원소철(elemental iron) 분말의 생체이용률을 측정하는 탐색방법 표준화는 이용률이 높은 최종 제품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식으로 이용하는 식품소재외의 다른 소재를 캐리어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기술개발, 철분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아미노산과 결합된 철분 킬레이트제의 사용, 저해제(inhibitor)의 제거방법, 수용성 철분과 다른 식품성분과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캡슐화(encapsulation) 방법 등의 연구는 가장 빈번한 영양장애인 철분결핍성 빈혈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현재 우리의 영양상태는 그동안 많이 향상되었으나 북한의 경우는 심각한 식량 부족상태에 직면하고 있으므로 각종 영양소 부족은 상당한 수준이하로 보인다. 아울러 지역적 음식문화 특성 및 종족 간 유전특성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우리의 경우도 장차 통일에 대비한 북한주민의 영양상태를 개선하고 철분결핍성 빈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연구 및 해결 방안을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Sean R. Lync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18
잡지명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Haemat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3~346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