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퇴비화와 그 원료물질 중의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source-separated compost and its feedstock materials - A review of field studies)

전문가 제언
□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제는 3R(Recycle, Reduce, Reuse)은 필수적인 요구사항이 되었다. 특히 유기성 폐기물은 콤포스트화에 의해 훌륭한 비료 대용물이나 토양개량역할을 수행하는 이점이 있어 최근에 각국이 이에 대한 연구와 실용화에 열심이다. 그러나 문제는 원료 물질에서부터 제조된 콤포스트에 이르기까지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의 함량이 가능한 한 낮아야 환경 오염을 가속시키지 않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현재 가장 연구가 활발한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은 여기에서 검토된 PAHs, PCBs이고, 최근에 폐기물의 소각 및 내연기관의 배출에서 주로 배출하는 것으로 밝혀진 각종 다이옥신과 일부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난연방지제인 염소화 및 취소화 유기물질이다. 과거에 무분별하게 쓰인 이런 물질들의 철저한 감소 노력과 앞으로의 사용 감소 전략이나 금지 등을 위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발생원에서의 철저한 분리 수거가 필수적이다. 이렇게 분리 수거된 유기성 폐기물은 콤포스트를 통해 재자원화가 될 것이다. 콤포스트의 수용체인 토양에서의 허용범위에 들도록 사전에 분석상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나, 콤포스트에 의해 피해를 입은 토양의 복원은 쉽지 않고 많은 비용이 들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 이 글은 주로 EU 지역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유기성 폐기물들과 이를 이용한 콤포스트화 과정에서 우려되는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분석을 유기성 원료, 원료의 수거 장소, 수거의 계절 관계, 콤포스트를 이용할 토양의 측면에서 자세하게 정리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콤포스트화의 활성화를 위해서 관계자들이 꼭 일독해야 될 것으로 판단한다.
저자
Brandli, RC; Bucheli, TD; Kupper, T; Furrer, R; Stadelmann, FX; Tarradellas, J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34(3)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35~760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