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차용 수소연료의 다양화 기술(Various Technical Issues on Hydrogen Fuel as a Fuel Cell Vehicle)
- 전문가 제언
-
□ 에너지 고갈 및 기후변화 협약 등 환경문제로 무공해 전지산업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수입국인 우리나라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전략적 측면에서 연료전지는 중요한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미래형 자동차 기술개발사업(Intelligent Super Clean Vehicle Project)이 산업자원부 주관으로 2002년부터 10개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화학반응에 의해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자동차용 연료전지는 에너지 밀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현재 수소연료가 기술개발의 주류이다. 본 자료에서는 자동차용 연료전지의 수소연료에 대한 다양한 원료의 제조와 그 기술 및 종합 효율의 검증 및 FCV용 수소연료의 사양에 대한 ISO/TC197 제안 내용과 국제적 표준화 활동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자동차용 연료전지는 가격, 고신뢰성, 내진동성, 내충격성 및 운전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또한 본격적으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영하에서 기동, 수분관리, 일산화탄소에 의한 촉매의 피독성 등이 과제이고 차량탑재를 위한 수소 저장과 제조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수소는 자원으로서 자연에 존재하지 않고 공업적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높다. 당분간 수소연료 제조 원료로는 화석연료가 사용되고 있지만 향후 수소 사회의 도래를 예상할 때 원자력, 바이오매스, 수력 · 지열, 풍력 및 태양광 등을 이용한 재생 이용 가능한 1차 에너지 자원에 의한 수소의 제조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소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는 지속이 가능하고, 지구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전하게 사회가 수용할 수 있고 안정적인 공급과 경제적인 경쟁력이 요구된다.
- 저자
- Takayuki SAK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27(3)
- 잡지명
- 자동차연구(L06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5~103
- 분석자
- 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