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막이형 통풍 유닛을 이용한 사무 공조시스템에 관한 연구(Study on Task-Airconditioning System using Low-partition Unit)
- 전문가 제언
-
□ 지적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쾌적성을 유지하는 사무 공조와 에너지 절약성을 중시하는 주변 공조를 조합하여 더욱더 효율화를 꾀하는 TA사무/주변공조(TA공조, Task/Ambient air conditioning) 시스템 설계에는 공조기나 기계실의 공간과 그 기계실과 사무실에 대한 배치를 검토한다. 사무실 가구 배치와 마루 통풍구의 배치 계획 등의 건축 계획과 크게 관계된다.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가압식 마루 통풍 공조방식을 채용한 사무실 빌딩에서 칸막이(partition)로 사무 공조 통풍을 병용한 TA공조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이 시스템에 대한 설명과 쾌적성, 에너지 절약성 등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 냉방만에 의한 설계목표와 고정된 칸막이를 사무 공조에 이용하고 부스(booth) 사이의 통로 등을 주변 영역으로 구분한다. 마루 통풍 공조 제어는 실내온도에 의한 급기온도 제어와 상하와 실내의 압력 차이에 의한 풍량 제어로 하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실물 모형(mockup)을 제작하여 피험자 모의실험을 한 결과와 칸막이의 사무 통풍 실험 결과와 에너지 절약성을 검증하였다. 실물 모형에 의한 실험에서는 공조시스템 계획 측면에서도 사무 공조 실현을 위한 정압 검토나 전체 공조 풍량 평형, 제어시스템과의 정합성 등 실용적인 관점에서 각종 규격의 기초 자료가 되는 근거를 얻을 수 있었다.
□ TA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경계해야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주변 영역과 사무 영역 사이에 혼합 손실이다. 운전 방법과 제어 방법 및 센서의 설정과 그 위치, 적합한 통풍 기류의 형상과 풍속을 형성하는 냉온풍 통풍구의 형상 선택과 설치 위치, 재실자의 동선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내 열부하 발생원(조명 포함)과의 연동도 필요하며, 통풍구 형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asato SASAKI ; Takashi YAN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0(3)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21~126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