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 공조 방식의 개념(Concept and Recent Trends of Task Ambient HVAC)
- 전문가 제언
-
□ 본 보고서는 종래 실내의 균질의 온열환경인 거주지역(Task zone)에 대해서는 질이 높은 환경, 주변지역(Ambient zone)은 그 보다 다소 질이 떨어지는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공조인 TA 공조(Task and Ambient Air Conditioning System)의 개념을 정리함과 동시에 일본 및 해외의 사례를 연구하여 금후의 과제를 제시한 보고서이며 TA 공조는 사무실에 있어 재실자의 지적 생산성을 높이는(Task zone) 동시에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Ambient zone) 공조시스템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자연 환기시스템과의 조합, IAQ(Indoor Air Quality)의 향상, 퍼스널공조, 치환 환기시스템, 조명연동 공조시스템 제어 등 차세대 공조시스템으로써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 특히 본 보고서는 미국 난방냉동공조학회의 TA 공조 및 공조시스템의 용어의 정의와 개발 사례로 파나소닉 멀티미디어 센터와 아시아 경제연구소에 도입된 TA 공조시스템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에너지 절약과 TA 공조에서 에너지 절약 방법과 미국 TAC 가이드라인의 TA 공조 이용 패턴, 거주지역에서의 지적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개인적인 냉온열 환경의 선택권 부여의 중요성과 아울러 금후의 과제로 TA 공조기술의 일반화와 매뉴얼화, 일본의 기후에 대응한 에너지절약형 TA 공조시스템의 개발, 저렴한 고감도 센싱기술 개발, 집기와 공조시스템의 합작과 통합갱신, 개수기술, 생애관리 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TA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경계해야 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주변지역(Ambient zone)과 거주지역(Task zone) 사이에 혼합손실임으로 운전방법과 제어방법 및 센서의 설정과 그 위치, 적합한 취출 기류의 형상과 풍속을 형성하는 냉온풍 취출구의 형상 선택과 설치 위치, 재실자의 동선 등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한편 실내 열부하 발생원(조명 포함)과의 연동도 필요하다. 따라서 건축 기계설비 분야에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Shin-ichi TANAB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0(3)
- 잡지명
- 설계공학(D1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3~110
- 분석자
- 문*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