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열강의 자기수복(Self-healing of heat resisting steel)

전문가 제언
□ 기계 기술은 급속하게 진보됨에도 불구하고 인간을 비롯한 생체에서는 치유 가능한 분야가 인공으로 제조한 기계에는 불가능한 분야가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생체에는 증식, 형태 형성, 수복(修復) 기구가 내장되어 있어 생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자체 기능으로 회복이 되지만, 기계에 발생된 손상은 전부 외부 수리에 의존하고 있다.

□ 기계가 고장 날 경우 사람이 외부에서 조치를 취하지 않고 기계가 자체적으로 고장을 발견하고 자체적으로 수리하는 기계의 자기수복은 아주 어려운 문제이다. 기계 시스템 전체를 한 종류의 기계 유닛의 집합체로 구성하여 어떤 유닛이 고장이 나도 타 유닛으로 치환할 수 있도록 하고, 각 유닛은 자율적으로 결합하거나 변화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개념으로서, 일본과 미국 등에서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기계나 건축물의 구조재로 사용되는 철강이나 세라믹, 콘크리트 등 재료 역시 사용 중에 손상이 발생하면 구조물의 강도 저하, 수명 단축과 함께 수리 복구에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 본고는 보일러용 강관이나 화학 플랜트에 사용되는 내열강의 자기수복 효과를 실증으로 연구 보고한 것이다. 내열강의 유황을 제거하고, 크리프 포인트 표면의 확산을 억제하는 안정된 화합물, 예를 들면 B와 N을 첨가하여 크리프 포인트 표면에 석출시키면 크리프 포인트의 성장이 억제된다. 그 결과 파단 강도가 높아지고 장시간 파단이 되어도 파단 연성은 저하하지 않는다.

□ 일본에서는 여러 분야에서 자기수복에 관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일부는 실용화되고 있다. 자기수복은 기계 및 재료의 성능이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서 관련된 기관에서는 관심을 가지고 일독하기 바란다.
저자
SHINYA Norio ; KYONO Jun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75(4)
잡지명
금속(A112)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9~323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