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촉매에 의한 화학물질 과민증 대책
- 전문가 제언
-
□ 광촉매란 자신은 반응 전후에 변화하지 않지만 광을 흡수함으로써 다른 물질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흔히 광촉매물질로 TiO2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건축자재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TiO2가 태양광의 자외선과 반응해 유기물을 분해하거나 유기물들의 결합을 분리시켜 표면을 스스로 자정(自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광촉매의 주요 용도로는 새집증후군 및 신교사증후군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정화에 이용하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벽이나 바닥재에 쓰이는 타일, 벽돌, 벽지 등을 광촉매로 코팅할 경우 유해화학물질이나 바이러스퇴치에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외국의 예에서 알 수 있다.
○ 이러한 기술의 실용화에서 대두되는 과제의 하나는 광촉매에 대한 표준화 된 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가령 새집증후군에 유해화학물질의 분해효과 혹은 탈취율(脫臭率)을 검사하는 방법이 공인기관에 의해서 검정되고 있지만, 본 기술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그의 표준화와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분해․탈취의 신뢰성과 신속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 광촉매의 상용화의 촉진을 위해서는 광촉매코팅 건축자재와 자정유리 등과 같은 상품을 개발하여 건강한 주거문화와 공공복지시설의 환경 및 안전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저자
- Taoda Hir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34(3)
- 잡지명
- 산업과 환경(L29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7~39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