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오존스트레스에서 식물호르몬의 역할(Role of Phytohormones in Ozone-exposed Plants)

전문가 제언
□ 식물이 오존에 노출될 때 여러 경로를 거쳐 유도되어 발생하는 대표적인 식물호르몬으로는 에틸렌, 살리실산, 자스몬산 등이 있다. 이들의 발생경로에서 작용하는 각종 효소인자의 기능이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못하고 이때 생기는 식물호르몬이 이런 인자들을 어떻게 제어하는가에 대한 메커니즘적인 규명도 확실하지 않은 상태라 말할 수 있다.

□ 식물호르몬의 발생 경로가 명확히 밝혀지고 이로 인한 가시적인 장해발생 메커니즘이 규명된다면 오존과 같은 강력한 산화제로 인한 식물의 피해를 치료한다거나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산화물질에 강한 식물을 육종할 수도 있어서 식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농학적인 개발도 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 통상적인 오존노출시험은 대개 0.2ppm이상의 고농도에서의 반응결과를 관찰하지만 실제 오존농도가 높다는 장소에서도 50~100ppb라는 조건을 생각하면 이 정도의 낮은 농도조건에서도 환경중의 식물에 무언가 악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비교적 저농도의 오존에서도 식물은 급격한 가시장해는 발생하지 않으나 광합성활성의 감소나 생장저해 및 노화촉진은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 이 글은 오존이 실제로 많은 농작물이나 산림의 생산성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주는 주된 광화학산화제로 식물의 잎에 가시적인 장해를 주게 되는 경로나 이때 발생하는 식물호르몬의 역할에 대해 최근까지의 국제적인 연구결과들을 정리한 것으로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점이 많다. 앞으로 연구결과에 따라서는 인류에게 긴요한 식물성장이나 농업분야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이 분야에 관심 있는 국내 연구자들에게 참고가 될 것이다.
저자
Daisuke OGAWA ; Nobumi KAKAJIMA ; Masanori TAMAOKI ; Mitsuko AONO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5
권(호)
40(2)
잡지명
Journal of Japan society for atomospheric environment(E139)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50
분석자
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