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소형가스터빈 개발(The Development of the Ultra Micro Gas Turbines)
- 전문가 제언
-
□ 미국 DOD산하 DARPA의 위탁으로 1990년대 말 MIT가 MEMS가공기술에 의한 초소형가스터빈 개발에 착수하여 고에너지 밀도의 시제품 생산이 성공한 사실이 발표되면서 주요 국가들이 초소형 가스터빈(Ultra Micro Gas Turbine : UMGT)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 이러한 배경에는 터빈블레이드 직경이 수mm에 불과한 UMGT가 소형무인비행체의 강력한 동력원으로써 가능성을 실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로봇, 휴대형 전자통신기기, 자동차용 보조동력유닛,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전원 등 광범위한 응용가능성이 존재한다.
□ 일본정부는 NEDO사업을 통해 터빈블레이드 휠 사이즈 40mm (Palm-top형)와 8mm(Finger-top형) 등 2개 종류의 UMGT를 개발해 왔다. 설계 및 시험제작과 성능시험 결과, 일부 보완이 필요한 요소기술 외에는 대체로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자체 평가하고 있다.
□ MIT프로젝트가 MEMS기술에 의해 제작한 반면, 이 프로젝트에서는 MEMS기술 외에 일본의 강점인 기계가공에 의한 블레이드 가공방식을 을 도입하고 있고, 프랑스 ONERA, 러시아 CIAM, 벨기에의 VKI 등 터보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외국연구소의 능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특기할 만 하다.
□ 국내에서는 이미 가스터빈(대형)기술개발프로젝트가 국책사업으로 추진된 경험이 있다. 또한 대학과 연구기관에는 열공학, 유체공학을 전공한 우수한 연구인재들이 많이 존재한다. 특히, 최근에는 MEMS기술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 UMGT기술 응용전망과 국내 R&D잠재력을 고려할 때, 최신기술 분야인 UMGT의 개발전략을 깊이 있게 강구하여 앞으로의 기술수요에 적극 대응할 것을 정부와 관계 연구원들에게 주문하고 싶다.
- 저자
- MATSUO Eito; YOSHIKI Haruo; NAGASHIMA Toshio; KATO Chisa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84(935)
- 잡지명
- 일본에너지학회지(M37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92~199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