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키틴질자재를 이용한 양배추 위황병의 방제기술

전문가 제언
□ 위황병 균은 Fusarium oxysporium으로 뿌리를 통해 침입하면 도관이 갈변되고 지상부를 고사시킨다. 양배추 재배에서 위황병은 일본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한 피해를 주는 토양병해로 약제방제가 용이하지 않다. 이 병의 방제를 위해 저항성 품종의 이용과 여름철 휴한기에 비닐피복으로 지온 상승에 의한 방제법도 이용된다.

□ 이 논문은 키틴질 자재(조개껍질 분말 등)을 시용하여 양배추 위황병 의 방제 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한 것이다.

○ 위황병균의 접종 및 이병토양을 대상으로 한 포장시험을 통해 조개껍질 분말 단독시용으로는 실용적인 방제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키틴질자재를 토양에 시용하고, 양배추 위황병 병원성 상실균주를 묘에 접종하는, 키틴질자재와 미생물자재를 조합한 경우 발병억제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이러한 발병억제 기구에 대해서는 본 논문에서는 분명히 제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효과는 키틴질 자재 시용에 유용미생물(방선균 등)의 증식 유도를 통한 병원균 세포벽을 분해하는 키티나제 활성 증대와 비병원성균의 접종에 의한 숙주의 저항성유도에 의한 상승적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도 추정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일반적으로 토양에 키틴질 시용은 병원균의 억제 등 다양한 유용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와 같이 그 효과에는 미해명의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병원균의 종류와 키틴질의 억제효과와의 관계를 더욱 해명하는 연구가 요망된다. 더욱이 작물과 토양 특성을 고려한 효과 평가와 그 실용화 기술 확립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노력이 필요하다.

□ 양배추 위황병을 포함한 토양병해의 방제에는 화학적 방제 이외에 생물적, 물리적, 경종적 방제법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방법이 단독으로는 효과적인 방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러 가지 방제방법의 조합에 의한 병원균의 완전 박멸보다는 경제적 피해 한계 수준이하로 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제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onden Iku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5
권(호)
60(4)
잡지명
농경과 원예 (A130)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5~49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