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산균 동결건조를 위한 관련 요인(Relevant factors for the preparation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전문가 제언
□ 산업적으로 유산균을 생균제 및 종균제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생산된 유산균체 분말의 활성과 생존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보증되어야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냉동건조 방법이 가장 효과적으로 오랜 기간 동안 활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취급, 저장, 상품화 및 실제 적용성에서 편리함이 있다. 그러나 냉동건조법에 의한 유산균의 활력을 최대한 유지하고 산업적인 발효용 종균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유산균 속과 균주에 따른 각각의 유산균에 대한 전반적인 최적 조건을 확립하여 활성을 보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산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유산균 발효 낙농제품 시장규모는 현재 약 1조원 이상의 매출액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발효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으며 건강에 유익한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도 시장규모가 매년 5~7%의 성장률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균주 탐색 및 활용 연구가 산업체, 학계 및 연구소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산균 종균은 100%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현실로서 균주 수출은 전무 한 실정이다. 현실적으로 발효제품 생산기술은 우수한 반면 국내에서 개발된 종균 사용을 기피하는 이유는 관련된 기초기술 기반이 취약하고 실제 균주를 취급하는 곳이 중소기업인 관계로 품질 보증 및 미생물 오염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다.

□ 그러나 앞으로 발효제품은 품질 개선 및 향상 뿐 아니라 건강기능성 향상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노령인구의 증가 및 각종 환경요인의 변화와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는 계속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유산균과 관련된 기반기술의 개량 및 활용연구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아울러 국내에서 개발된 균주의 활용으로 고유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
Ana S. Carvalho et.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4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35~847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