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줄기세포 이식에서 “비밀면역내성”: 심근재생에 있어 보편적인 기증자 가능성(“Stealth Immune Tolerance” in Stem Cell Transplantation: Potential for “Universal Donors” in Myocardial Regenerative Therapy)

전문가 제언
□ 심장질환은 중견 남성에서 높은 비율로 일어나는 질환이나 성숙기를 지난 여성에 있어서도 음식과 생활 스타일 때문에 높아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 주요한 원인이 관상동맥경화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는데, 관상동맥내막에 지방이 쌓이고 그 위에 혈소판이 붙어서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속의 내강이 좁아지면서 심장병으로 이어진다.

□ 다른 방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의 심장질환자에게는 심장이식이 감행되는데 병든 심장을 제거한 뒤 건강한 공여자의 심장으로 완전히 치환시켜준다. 현대의 심장 이식 수술은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동물 실험을 통한 축적된 외과 경험과 면역억제제와 같은 약물의 발전으로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 최근의 연구에서 줄기세포가 심근세포의 증식분화가능성을 보이면서 심근세포의 손상이나 이식할 때 이러한 세포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로 자가 줄기세포나 전구세포를 심근재생에 실험적으로나 임상적으로 활용하여 타가나 타종에서 오는 이식면역거부반응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에서 나온 세포를 이식한 후에도 면역거부반응을 없애는데 근거를 두고 연구하고 있다.

□ 동물의 세포이식에 대한 연구에서는 조직적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거나 면역결핍으로 문제가 없는 수용자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줄기세포나 골수기간세포가 이종 혹은 타가세포 이식에서 거부반응이 낮음을 확인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포를 이용해 보편적인 기증세포로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사람의 배아줄기세포 핵 치환과 배양기술의 향상이 이루어지면서 적은 수의 난자에서 줄기세포를 확립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또 환자유래세포를 이용해 면역거부반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바탕영양세포로도 활용하여 동물에서 유래되는 질병의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기틀도 마련해 이 분야에도 진전이 있으리라 본다.
저자
Ray C. J. Chiu, MD, Ph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5
권(호)
(5)
잡지명
The Journal of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11~516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