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이드레이트의 장단점(Benefits and drawbacks of clathrate hydrates: a review of their areas of interest)

전문가 제언
□ 외부로부터 원자나 분자를 포함하는 결정질 포접 화합물인 수화물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장벽(barrier)"이라는 의미의 "khlatron"에서 유래하였으며, 수소와 결합한 분자가 3차원적 형태로 모체의 공극 내에 물리적으로 포집된 화합물로, 물을 함유하면 수화물 하이드레이트, 가스가 추가 결합되면 가스 하이드레이트라고 부르며, 후자가 흔하게 나타나며, 그 구조는 포집된 분자의 크기와 물분자의 배열에 따라서 등축정계 I, 등축정계 II, 및 육방정계 H 등 3가지 구조로 나타난다.

□ 수화물 하이드레이트는 1810년 Sir Humphry Davy가 최초로 발견 하였으며, 1934년에는 Hammerschmidt가 석유와 가스 파이프라인의 마개를 막는 현상이 하이드레이트 때문임을 밝힌 이래, 석유와 가스 산업에서 경제적 위험성을 고려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 세계 해양과 영구동토 지역에서 우연히 발견된 하이드레이트는 거대한 양의 메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21세기 새로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CO2의 격리, CO2의 분리, 천연가스 저장과 수송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해리 시 나오는 에너지의 이용은 냉동과정과 저장에도 응용할 수 있는 등 여러 분야에서 흥미를 가지고 연구 중이다.

□ 세계 하이드레이트 총 매장량은 1998년 Collett와 Kuuskraa에 의하면 영구동토 지역의 하이드레이트 매장량은 (1.4x101)~(3.4x104)tcm(trillion cubic meters)이고, 해양 퇴적물 중에 매장량은 (3.1x103)~(7.6x106)tcm으로 평가한 바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확인된 매장량이 일본 국민 전체가 100년 간 사용 가능한 양이지만, 한반도의 경우는 최근 동해 울릉분지에서 하이드레이트의 지질학적 부존 가능성만을 확인한 상태로 앞으로 통합 세계 해양시추 프로그램(IODP)을 통한 시추탐사를 계획 중에 있다.
저자
Imen Chatti, Anthony Delahaye, Laurence Fournaison, Jean-Pierre Petite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05
권(호)
46
잡지명
Energy Conservation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1333~1343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