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하는 애니메이션: 복잡한 동적조직의 실감나는 모형(Reactive Animation: Realistic Modeling of Complex Dynamic Systems)

전문가 제언
□ RA의 연구 노력은 두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남겼다고 본다. 첫째 RA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흉선 T-세포의 발달과정의 각종 변화를 경험했고 중요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RA의 구조와 운영환경이 단일 CPU가 아닌 인터넷으로 연결된 다수 컴퓨터라는 점이다. 이는 시스템 성능향상뿐 아니라 다른 흥미로운 응용에도 활용 가능하여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 RA의 대화기능을 사용하여 활성 T-세포 표면의 수용체 분자를 SDF1, TECK, MDC 등으로 바꾸어 선택하며 이들 변화에 따른 세포변화를 파헤쳤다. 두 개는 생체실험으로 증명된 것이지만 세 번째 실험의 세포미분 후 단계에서 발달억제와 특정부위에서 세포질 감소는 본 연구의 결과로 판단된다.

□ 흉선세포들의 미성숙 상호작용에 의하여 대부분의 T-세포들이 선택된다는 놀라운 결과도 얻었다. 흉선세포의 사회적 경쟁이 어떻게 세포소멸 패턴을 통제 또는 파괴하는지도 밝혔다. T-세포 행동이론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T-세포 완성기에 공약적 선택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이러한 RA의 기능과 성과를 종합하면 결국 T-세포 미세분자조정을 통한 억제기능과 완성기에서 선택기능으로 T-세포의 종류를 조정할 수 있다고 본다. 이는 Helper와 Killer T-세포는 증진시키고 서프레서 T-세포는 억제할 수 있다는 놀라운 결론이다. 이는 생명체의 면역증진과 기관역학에 큰 영향을 미쳐 질병치료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것이다.

□ Rhapsody 반응 시스템 시뮬레이션과 Flash 애니메이션을 별개의 컴퓨터에서 수행하게 하고 인터넷으로 연결하였다. 그래서 RA는 분산처리 환경과 특수응용의 원격통제 기반을 마련하였다. 여기서 반응시스템을 지능형 가전제품이나 디지털장치로 대체하고, 애니메이션을 PC로부터 핸드폰 등 휴대장비로 확산시킬 수 있다. 이는 요즘 발전추세인 유비쿼터스, 홈네트워크, 룸웨어 등의 새 패러다임 컴퓨팅이 되어 여러 형태의 반응시스템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저자
Efroni, S.; Harel, D; Cohen, I. 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5
권(호)
38(1)
잡지명
IEEE Computer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8~47
분석자
신*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