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강자장 화학기상법에 의한 고온산화물 초전도체 YBCO의 조직과 기능제어(Possibility of Microstructure and Function Controls in Oxide YBCO)

전문가 제언
□ 21세기에 인류의 생활을 바꿀 주요 기술 중 하나로 고온초전도체가 지목되고 있다. 이 기술의 예상되는 사용처는 무궁무진할 정도로 넓다.

□ 네덜란드의 Onnes가 1908년에 헬륨을 압축하여 액화시키고, 이어서 액체 헬륨을 이용하여 1911년에 4K에서 수은의 초전도현상을 발견하였다. 그 후 상당 기간 초전도현상은 절대 영도 부근에서만 일어난다고 생각하였다.

□ 1933년 독일의 Meissner와 Oschenfeld는 초전도체의 자기반발효과를 발견하여 마이스너 효과라고 부르고, 꿈의 자기부상열차의 가능성을 열었다.

□ 1988년 IBM의 Bednorz와 Muller는 질소의 액화온도 77K에서 초전도현상을 갖는 란타늄계열 합금을 발견하였고, 현재는 이트륨계열 합금의 90K, 비스무스산화물계, 탈륨계, 수은계 합금이 134K에서 초전도현상을 보이고 있다.

□ 계속 발전도상에 있는 고온초전도체의 “고온”이 실온(297K)이 되고, 직사 태양광선에 노출된 선로의 온도(340K)에 도달하면 인류의 꿈은 현실이 될 것이다.

□ 중국 상하이와 일본 나고야 그리고 대전에서 계획하고 있는 자기부상열차의 냉각제가 액체질소, 드라이아이스, 지하수 등 그 어떤 냉각제라도 사용하고 있다면 경제적인 부담이 될 것이고, 꿈은 아직 멀었다고 보아야 한다.

□ Awaji 등이 강자장에서 결정립을 배향하여 고온산화물 초전도체 YBCO의 긴 선재화를 노린 것은 초전도체 송전선의 개발을 향한 첫 걸음이라고 보아야 한다.
저자
Satoshi AWAJI ; Kazuo WATANAB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40(3)
잡지명
Ceramics Japan(C091)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3~177
분석자
최*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