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포러스 결정 C12A7 : 분위기 제어에 의한 음이온의 포접과 기능성 발현(Nanoporous Crystal C12A7 : Incorporation of Active Anions and Functional Design by Control of Atmosphere)
- 전문가 제언
-
□ 전형적인 경금속원소의 산화물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조화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기능 재료로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생각되어 왔다. 12CaO · 7Al2O3 (이후 C12A7라 함)는 클라크수(Clark number) 상위의 전형적 원소(Ca:5위, Al:3위, O:1위)만으로 구성된 복합금속 산화물이다.
□ C12A7은 흔히 있는 물질로, 오래전부터 알루미나 시멘트의 한 성분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C12A7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발견되고 있다. 산소 분위기중에서 C12A7을 열처리 하면 케이지 내부에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활성산소가 대량 취입되고, 수소 분위기의 환원 상태에서 처리하면 C12A7에는 강력한 환원성을 가진 H-가 포접된다. 더욱 H-포접 C12A7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전자전도성이 발현한다.
□ 이와 같이 과거에는 알루미나 시멘트의 한 성분으로 밖에 생각지 못하였던 것이 반도체 프로세스에 있어서 새로운 일렉트로닉스 상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재료의 양산 방법이 활발히 연구 중에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 재료의 수냉 비정질계 시멘트에 대한 연구는 많이 하고 있으나 엘렉트라이드의 전자방출 및 전계 방사형 발광 소자에의 응용 등 전자 기능재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별로 없는 것 같다. 풍부한 자원에 얼마든지 양산 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앞으로 이 분야의 응용 분야는 대단히 넓은 것으로 보여 진다.
□ 이 분야의 연구는 이제는 무기재료 분야만의 과제가 아니고 전기전자, 재료분야에 종사하는 여러분의 몫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이는 새로운 분야로 초기에는 투자에 비하여 수확이 거의 없겠으나 자연 환경에 존재하는 무궁무진한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연구 정책 입안자는 과감하게 이 분야에 연구가 추진될 수 있도록 추진 할 가치가 있는 분야로 생각된다.
- 저자
- Katsuro Hay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5
- 권(호)
- 25(4)
- 잡지명
- 기능재료(D32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9~55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