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D서비스의 시작
- 전문가 제언
-
□ 현재 지상파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것을 IP 방송에서 재송신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고 있다. 이는 IP 방송사업자가 각 가정까지의 액세스라인을 망사업자의 회선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방송업계에서 이를 경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술의 진보는 시대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IP 방송용 콘텐츠도 다양화되고 있다.
□ 통신망에 의한 방송서비스는 VOD 서비스로 활로를 찾을 수 있으며, 현재 서비스도 개시되었지만 이용자가 급증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그 이유는 VOD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아직 낮으며, 콘텐츠 상품구비에 한계가 있으며, 아직은 비디오 대여점이 인기가 높다는 점 등을 생각할 수 있다.
□ 그러나 브로드밴드의 보급이 점차 진행되고 있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자가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의 VOD 콘텐츠는 할리우드 영화와 지상파 TV에서 방송되었던 지난 프로그램을 모아둔 것 정도이다. 그러나 향후 VOD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게 되면 투입되는 콘텐츠도 더욱 다양하고 풍부해질 것이다.
□ 대다수의 CATV 사업자가 혼자만의 힘으로 VOD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어렵다. 향후 이들이 대기업 사업자와 지역적으로 경쟁을 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VOD 서비스에만 주력한다면 상당히 불리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VOD 서비스는 여러 번 붐이 일어날 정도로 그 관심도는 높았으나 사업으로의 성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은 사업자들이 VOD 서비스에 관심을 보이고 실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들의 결과를 보고나서 사업에 뛰어들 준비를 하겠다고 하는 사업자도 많다. VOD 서비스의 결과가 향후 어떻게 될 것인가는 아직 미지수이다.
□ 국내의 CATV 업계서도 고화질 VOD 서비스와 PPV·TV 포탈서비스, 초고속 인터넷·Cable phone 등을 번들로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와 인터넷전화(VoIP), 양방향 데이터방송,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한 방송통신 경계영역 서비스 제공을 추진 중에 있다. 따라서 2005년이 VOD 서비스의 성패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저자
- Edito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5
- 권(호)
- 38(3)
- 잡지명
- 위성과 케이블TV(B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18
- 분석자
- 양*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