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감귤류의 암 예방물질에 관한 연구(Chemical Study of Citrus Plants in the Search for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전문가 제언
□ 감귤류의 성분 중 3,5,6,7,8,3‘,4’-heptametoxyflavone(HPT)는 in vivo에서의 마우스 피부 2단계 발암 억제시험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발암의 initiation, promotion의 양 단계에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HPT를 비롯하여 NBL(nobiletin), TNG(tangeretin)(121) 등의 항암성 물질인 polymethoxyflavone이 많이 함유된 감귤류는 구레멘다이, 사와오렌지, 스위트오렌지이며 진균류에 억제 효과를 보이므로 자연계에 있는 감귤류의 저항성의 요인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 최근 일부 학자들은 감귤류 과피(果皮)의 성분이 체내 항암제 배출에 관계하고 있는 P-당단백질에 대한 감귤과즙 성분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NBL이나 tangeretin(121) 등이 P-당단백질을 저해하는 것을 밝히고 있다. HPT의 항 발암작용과 항암제 배출저해작용을 하는 성분과 조합시켜 새로운 관점에서 암 치료법의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 HPT는 발암의 initiation, promotion의 2가지 과정에서 억제효과를 보이는 것이 밝혀졌으나 천연물로서는 함유량이 적어 다량을 입수하는 것이 어렵고 기지(旣知)의 추출방법은 공정이 길고 총 수율도 낮다. HPT를 리드화합물로 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 활성이 강한 화합물의 합성 연구가 이루어져 신약 생산의 길이 열려지고 있다.

□ 이상과 같은 외국의 연구결과를 참고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감귤류의 재배에 있어 품종의 선택과 과피(果皮)의 효과적 활용을 통하여 신약개발의 기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감귤농업의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 천연 작물의 기능성 물질 확인을 통한 신물질 개발을 위하여 천연 생물자원의 유전자 정보 연구와 그 보존이 활발해 지기를 바란다.
저자
Motoharu JU-IC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125(3)
잡지명
약학잡지(A152)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31~254
분석자
박*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