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 행렬이 긴 화장실에서 필요기구 수의 산정방법(A Method of Estimating the Necessary Number of the Fixtures in a Toilet Under Expanding the Waiting Queue)
- 전문가 제언
-
□ 화장실 내의 필요기구 수를 산정하기 위한 기초이론으로 일본의 공기조화 · 위생공학회가 정한 기구 수 산정법이 이용자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 방법에서는 단위시간 내의 평균도착 수와 평균 사용시간으로 기구 수를 산정하므로 단위시간 당 평균도착 수를 미리 예측하여야 한다.
□ 여자 화장실의 사용시간은 남자 화장실의 소변기 사용시간에 비해 평균 2~3배 정도 길다. 따라서 필요기구 수의 산정에서 남녀 비는 중요하다. 한정된 기구로 발생하는 대기 행렬은 서비스 수준 개념으로 표시되고, 서비스 수준 Ⅰ~Ⅲ에서 대기 행렬의 길이가 기구 수의 1/2~2배에 이른다.
□ 기구 수를 산정할 때 계획 개념으로 대기 인원의 상한을 정하는 방법과 대기 시간의 상한을 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에서는 가장 긴 행렬이 차지하는 공간을 계획해둘 필요가 있다.
□ 시합중인 야구경기장 세 곳의 5개소 세면장과 축구경기장 두 곳의 2개소 화장실을 대상으로, 남녀 비와 최대 도착률을 조사 비교하였다.
□ 다목적 경기장과 같이 대기 행렬이 길어진다고 예상되는 화장실의 기구 수를 산정할 때는 대상 화장실의 이용자 모집단 크기를 명확히 하고, 남녀 비와 최대 도착률을 통계수치로부터 신뢰구간 95~99.5% 범위에서 채택하면 좋다.
□ 대기 행렬 길이에서 서비스 수준을 설정하고, 그것을 초과하면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지는 주위에서 자문을 받는다. 이용 모집단의 남녀 비는 변동하므로, 변동 범위를 고려해서 계획자가 설치기구 수를 유연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 차후 시설에서 개최되는 이벤트 내용에 따라 필요기구 수가 변할 수 있으므로 건축 계획 단계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방법에 따라 과학적으로 화장실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저자
- Yoshiharu Asan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79(3)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1~196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