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의 유지 관리 기술(Toilet Maintenance)
- 전문가 제언
-
□ 일본 내에서 요즈음 화장실은 여성을 배려한 설계와 더불어 쾌적한 환경이 되도록 요망되고 있다. 화장실의 유지관리는 일상 유지관리, 정기유지관리 그리고 장기 유지관리로 구분하고 있다.
□ 화장실 청소의 작업 회수와 주기에 대해서 (재)건축보전센터에 의해 출판된 “건축보전 업무 공통사양서 2003년 판”이 있다. 일상 청소는 바닥과 바닥 이외의 청소로 나누어 하루 한번씩 하고 있다. 정기 청소도 작업 항목에 따라 월 2회에서 년 1회씩으로 하고 있다.
□ 2002년부터 (사)전국빌딩유지관리협회가 청소 전반을 평가하는 “품질 검사자 2급”의 양성하는 강좌를 실시하고 있고, 점검항목과 판단기준을 정하고 있다. 모든 항목의 점수에 의해 75%이상을 표준 이상, 50%이상 75%미만을 표준, 50%이하를 표준 이하로 정하고 있다.
□ 설비 점검이 중심인 정기 유지관리의 점검 항목은 집수조, 고가 수조, 급수 펌프, 세면기, 시스 탱크(sheath tank) · 플러시 밸브, 대소변기, 배수관 및 오수조 · 잡배수조 · 음료수조 등 7개항목이다. 주1회씩 “건축물에서 위생적인 환경확보에 관한 법률”에 기준하여 급수전 말단에서 수돗물의 수질을 검사하고, 그 외는 월 1회씩 위생 기구를 점검한다.
□ 빌딩의 장기 보수 계획에 들어 있는 장기 유지관리에서 위생 설비의 장기 보수 계획은 (재)건축보전센터의 “건축물의 내구연한 비용” 지침에 제시되어 있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축물의 사용 연한은 65년, 건축 설비의 교체는 30년으로 되어있다.
□ 화장실의 위생관리는 일상 청소에 의한 위생관리와 감염증 대책과 같은 비상 시의 위생관리로 구분한다. 위생관리의 기본은 구역관리로 일반 구역과 오염 지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 빌딩의 유지관리에서 화장실의 위치는 점차 높아지고, 선진화된 관리를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의 (재)건축보전센터, (사)전국빌딩유지관리협회와 같은 단체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Kozo Masa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79(3)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97~201
- 분석자
- 이*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