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및 재해시의 화장실 사례(Toilet Problems at Earthquakes and Disasters)
- 전문가 제언
-
□ 본 내용은 대규모의 재난이 일어난 경우로서 많은 사람들이 넓은 지역에 걸쳐 피해가 발생하였을 시에 수습하기 위한 대책이 세워져 안전하고 편리한 곳으로 사람들이 옮겨가기 전까지 취하는 긴급 대응에 있어 화장실의 부재로 겪어야하는 고통을 줄이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된 사례검토 보고서이다. 본문에서 예를 든 1995년의 한신‧아와지 대지진이나 지난 2004년 말의 동남아시아 대 쯔나미 피해 같은 경우가 이에 해당 될 것이다. 물론 전기나 식수 문제도 있겠지만 화장실 문제에 관심을 집중시켜 문제를 제기하고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지진 피해시나 재해시에 있어서의 화장실로 인한 문제를 크게 두 가지로 다루고 있다. 하나는 건축물의 일부인 화장실과 가설화장실 등 건축물에 직접 관계되는 문제와 또 하나는 재해라는 긴급한 상황으로 인한 임시용 화장실의 가설과 관련하는 정보전달, 운반, 설치, 보관 등의 간접적인 문제이다.
□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일상과 비일상의 공유대책으로 가정과 학교를 예를 들어 대책을 유도하고 있으며 재해를 감안한 방재훈련의 중요성과 시설 설비 등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또 재해시 이용되는 화장실의 기술개발의 동향과 앞으로의 과제들에 대하여도 언급하면서 자연 속에서의 방재훈련을 통한 대비책을 제시하고 있다.
□ 재앙은 아무도 예측치 못하는 것이다. 한반도에도 언제 어디서 닥칠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우리는 사소한 재난이나 재앙시 119 대원들의 활약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좀 더 큰 재앙이 닥치면 속수무책인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 지난 강원도 산불이 그것이다. 중량급 헬기가 준비되어 있지 않아 불길을 잡는데 고생만 하고 산과 절이 타버려 소중한 문화유산까지 소실되었다. 이제는 지구 한쪽에서의 효과가 지구 반대쪽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엘리뇨, 지구온난화 등) 재난에 대한 방비는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재난에 대비하는 체제와 연구가 국가적 차원에서 강화되었으면 하는 생각을 하여본다.
- 저자
- Koo 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79(3)
- 잡지명
- 공기조화위생공학(L10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29~234
- 분석자
- 김*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