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붕 - 적설의 변태와 파괴의 메커니즘(Snow Metamorphism and Avalanche Release Mechanism)
- 전문가 제언
-
□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봄철 대설이 자주 내려 동계 도로 관리에 어려움이 많아지고 있으며, 고속도로를 포함하여 각종 지방도로의 연장으로 고도가 높은 도로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서 터널의 암반붕락 사고, 설붕 등 도로에서 일어나는 재난을 방지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설붕의 발생은 도로의 안전뿐 아니라 겨울 산이나 고산 등반의 스포츠가 대중화함에 따라 고산의 도로의 공사나 운영 및 각종 스포츠 마니아들의 최대의 위협이 되고 있다.
□ 눈은 대기 중에서 결정화되어 지상에 이르기까지 기온이나 수증기 등의 자연조건에 의한 결정형으로의 이력과 지상에 쌓여 적설이라는 이름으로 겨울의 기상조건에 따른 이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성질이 다양하다. 겨울철에 흔히 발생하는 전층 설붕은 발생사면이 매년 거의 동일한 장소에서 일어나며 글라이드와 크리프를 방지하기 위한 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며, 표면 설붕은 약층의 형성과 대설이 함께 작용하여 이제까지는 설붕이 발생되지 않던 곳에서 발생하므로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광범한 대책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다.
□ 동계에 특히 강설량이 많은 일본 북해도에서는 토목공학을 통한 하드웨어에 의한 대책 외에도 소프트한 대책으로 기상 모델, 적설의 변태 모델, 사면 적설의 안정도 모델 등을 조합하여 설붕의 발생에 대한 예보제도를 검토하고 있다는 발표가 있으며, 유럽 각국에서도 여러 가지 모델의 개발되어 프랑스 및 스위스에서는 실용화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표면 설붕은 적설 내부의 구조 특히 약층의 형성에 대한 메커니즘의 이해가 가장 중요하며 설붕의 예보를 전제로 한 모델을 개발하고 이들을 발전시켜 일기예보와 마찬가지로 설붕예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 개발이 요청된다.
□ 앞으로 고지대 도로의 확충과 특히 통일 후의 도로 관리, 여가활동의 확대에 따른 설붕 방지 및 예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T. OZE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46(529)
- 잡지명
- 소성과 가공(C2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3~118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