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1C 차세대 항공의 공역 용량 확대와 소형 항공기의 운용

전문가 제언
□ 21C 차세대 항공의 사용공역 확장과 소형 항공기의 운용을 위한 네트워크화는 미국의 경우 국내항공 교통량은 2025년까지에는 3배로 증가되는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항공 시스템 변혁에 필요한 공역, 공항, 허브와 통신(hub and spoke) 운항 및 국내 지역간 소형 제트기인 RJ 항공기 개발 기술 등 전략적으로 세계적인 항공 공역 용량 확대를 위한 항공 시스템 네트워크화의 일환이다. 허브와 통신 운항 시스템과 첨단 항공전자 시스템을 장착한 소형 제트기의 개발을 위한 운용 전략을 국가 목표로 삼고 있다.

□ 미국에 비해 한국의 항공우주 분야는 매우 취약하여 비교 언급하기가 어려우나,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추세인 항공 시스템 변혁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향후 미래의 공역 용량 확대를 위하여 현재 공항, 공역 및 허브와 통신 운항 시스템 검토가 필요하다. RJ 항공기인 소형제트 항공기의 구성품 중 항공전자 시스템인 항법장치, 그래픽 디지털 통신장치 및 자동조종 장치 등 첨단 항공전자 시스템의 개발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 21C를 맞이하여 이미 제반 항공 시스템에 대해 연구 검토를 하고 있으리라 보지만 세계적인 소형 항공기의 증가 추세에 따라 우리나라도 소형 제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의 핵심부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 미래 공역 용량 확대를 예상하여 비행운항, 공항확대 및 개량과 공역 등 전반적인 항공 네트워크에 관하여 재차 전략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Bruce J. Holmes ; Matsuo Yoshiro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5
권(호)
(600)
잡지명
항공기술(A0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5~31
분석자
김*옥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