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비행기의 날개, 조류, 곤충의 날개

전문가 제언
□ 물고기 지느러미의 단면(斷面)은 몸체에 이어서 전체의 양항비가 크게 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회유어는 하천 상류의 폭포를 뛰어오르기 위해선 매우 큰 양항비의 지느러미 구조를 가져야 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도태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 우리가 일상 접하는 세계는 거시의 세계이다. 18세기 중엽 산업 혁명을 거치고 과학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기계 문명의 풍요 속에서 살아왔다. 주변의 모든 자연현상과 동식물의 생태와 움직임까지도 과학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면서 살아왔으나, 현미경의 발달과 미시 세계의 관심과 연구로 지금까지는 알지 못했던 마이크로 세계의 신비가 차츰 밝혀지고 있다.

□ 인류는 자연의 신비를 과학이라는 잣대로 해석하려고 한다. 자연계의 모든 현상을 하나의 이론으로 묶기를 바라고 있지만 그것은 불가능하며 미시(微示)의 세계에서도 일반적인 자연법칙은 성립되지 않는 것이 많다. 빅뱅을 기점으로 우주는 끊임없이 팽창을 지속하고 있고 기기묘묘한 생명체로 가득 채워진 지구라는 행성은 오늘도 무한 우주공간을 떠돌고 있다. 자연계에서는 엔트로피가 증가할 뿐으로써 무질서로만 치닫게 되며 결코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질서로 되돌려지지는 않는 것이다.

□ 우리가 미시적인 관점에서 작은 곤충이 나는 모습을 보면 알려진 일반적 자연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레이놀즈수가 작은 수mm 이내의 작은 곤충의 세계는 그 날개 구조부터가 매우 특이하다. 그러나 그 작은 조직체에서도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상화 되어 있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한다.
저자
Kawachi Kei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5
권(호)
(599)
잡지명
항공기술(A082)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6~55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