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취성재료의 소구경 가공 기술

전문가 제언
□ 제조 부가가치 즉 PAV(Production Added Value)를 높여가기 위해서는 가공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가공 기술 개발을 필요로 하는 것은 난절삭재라 생각되며, 난절삭재란 절삭 가공 시에 공구 날의 마모가 빠르게 되고, 날의 손실이나 날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빈번하고, 절삭저항치가 과대하며, 절삭 날 부근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 또 다듬질 가공면이 열화하는 일이 많고, 절삭 칩이 부스러지지 않고 절삭 날에 응착하는 현상들 가운데 한 가지 이상 발생하는 재료를 일반적으로 난절삭재라 부른다.

□ 이런 조건을 갖는 재료로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취성재료인 인코넬 718, 티타늄 합금, 알루미나 세라믹스, 유리 등이 있으며, 이들은 최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로 가공 또한 고정밀도를 요구하고 있어 다이아몬드 공구에 대한 기대가 크다.

□ 최근에는 다이아몬드 결정의 미세화로 종래의 다이아몬드 코팅의 특징인 주상(柱狀)으로 성장시키는 비교적 깨지기 쉬운(brittle) 조직을 개선하게 되어 피막인성의 향상으로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전착 기술 발전으로 취성재료의 절삭 가공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 앞으로 제조 부가가치를 창출하려면 특수한 재료의 가공 기술 개발 내지는 초미세 가공의 나노미터 가공 기술이라 생각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공용 기계도 중요하지만 공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우리나라 다이아몬드 공구의 현재 상태는 연삭용 숫돌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수 가공용 공구는 외국산에 의존되고 있어 취성재료나 난절삭재료 가공용 특수 공구의 개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저자
MASUDA, Masahiro ; OYAMA, Aki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5
권(호)
49(3)
잡지명
기계와 공구(A060)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6~21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