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에 도움이 되는 관성모멘트의 설계 계산
- 전문가 제언
-
□ 회전체의 설계에 있어서 SI단위인 관성모멘트와 중력 단위인 GD, 양쪽을 쓰고 있는 현실이나 SI단위계의 사용이 의무이고, 대학에서 SI단위계로 교육하고 있어 GD은 점차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 과거의 설계 자료를 이해하고 이용하기 위하여서는, 질량 단위의 관성모멘트와 GD의 관계를 확실히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 관성모멘트의 단위에 SI단위인 [kg · m²]로만 표기되지 않고, 중력 단위인 [kgf · s²m]로 표시된 경우도 있으므로 환산에 주의하여야 한다. (본문 식 (7)과 식 (8) 참조)
□ 직선운동에서의 관성은 질량에 비례하므로 관성모멘트가 큰 의미가 없으나, 크랭크축과 같이 회전하는 물체와 플라이휠의 설계 등에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 관성 휠의 설계에서 질량은 적게, 관성모멘트는 크게 하는 것이 요체임으로 회전축의 중심에서 먼 부분의 질량을 크게 설계함으로 질량이 큰 부분의 질량과 그 중심선부터의 길이의 제곱인 간략 계산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저자
- Kawakita K. ; Huzi 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5
- 권(호)
- 49(4)
- 잡지명
- 기계설계(A05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7~104
- 분석자
- 전*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