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분말소결에 의한 투명석영유리의 제조(Fabrication of High-Purity Transparent Silica Glass by Powder Sintering Method)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일본 Kyushu University 전자재료공학부에 근무하는 Shigeru Fujino씨의 논문을 일본 과학 잡지 New Glass Vol. 20, No. 1, (2005)에 특집 “실리카 유리의 새로운 전개”란에 투고한 내용이다.

□ 석영유리는 순수한 규석을 융해하여 만든 이산화규소(SiO2)만으로 된 유리이다. 유리가 연화하는 온도는 1500℃ 이상이고, 팽창계수는 5~6x10-7이다. 급하게 가열하든가 냉각하여도 깨어지지 않고 견디는 성질이 있으며, 내식성도 크다. 자외선 투과는 2000Å까지나 된다. 탄성 성능도 매우 좋으나 융해하는데 1800℃의 고온이 필요하며 세공을 할 때에는 산수소화염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품의 값이 비싸다. 열기구재료, 화학기구재료, 자외선 투과용 광학기구재료, 광섬유, 정밀 용수철 등에 쓰이고 있다.

□ 석영유리를 만드는 기술은 오래전부터 축적되어 있다. 그런데 통신 분야, 정밀기기의 제조물량이 급등함에 따라 고급유리의 수요도 거기에 따라 대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실린 논문의 내용은 기존의 제조기술을 크게 벗어나지 않고 다만 고품질의 규석원료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규석유리의 결정화 과정에서 원료입자의 크기, 수산기의 제거, 기포의 제거, 숙성시간, 산소분압의 조정으로 인한 최적 데이터가 최근 것으로 대체되어 있어 이 분야의 연구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석영유리의 투명성을 상당히 강조하고 있다. 결정의 투명성은 결정 내부에 해태로지뉴스를 제거하는 것이 관건이다. 해태로지뉴스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이물질이 없어야하고 결정화 과정의 시간을 가능한 한 길게 한다. 온도 구배를 완만하게 하여 외부로부터의 열 충격을 차단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석영유리(quartz glass)를 제조하는 중소기업이 많이 있다. 영신 Quartz, 금강 Quartz, 서울특수유리, 환경 Tech. 성광 특수 강화유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대학 연구기관에서도 유리에 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있어 왔다. 전자제품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석영유리에 대한 기초연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Shigeru Fuji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20(1)
잡지명
New glass(F0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9~24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