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oft-MEMS 기술을 구사한 바이오 메디컬 센서(Biomedical Sensors by Soft-MEMS Techniques)

전문가 제언
□ 1990년대에 들어와서 비약적으로 발전한 전자 디바이스 제조기술로 디바이스의 미세한 제작기술을 이용한 센서나 액추에이터(actuator) 시스템(MEMS)의 제작에 관련된 연구 투자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센서나 디바이스는 기술은 반도체나 무기재료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어 유기고분자 화합물의 활용이 활발하다고 말 할 수 없다. 그러나 의료나 건강 복지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는 실리콘이나 유리 기판을 이용한 디바이스가 아니라 신체에 안전하고 유기적으로 기능하는 사회적 수요를 고려할 때 유기재료의 등장이 요청되는 시점에 이르렀다.

□ 사람이나 생물을 위한 디바이스를 목표로 한 기술개발의 방향으로서 Soft-MEMS가 제창되었는데 인체나 생물과 접하여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예로 의학용 대사 계측기와 같이 눈에 장착하는 디바이스는 가급적 부드러운 화학 센서의 개발을 위해 고분자와 MEMS 기술을 융합하여 진행시키며 채혈이나 채뇨가 필요하지 않으며 신체에 파고들어 불편하게 하지 않는 부드러운 계측기술이 요망되며 또 환경문제 중에서도 대기오염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스 스니퍼 등의 개발을 위한 고분자 재료의 활용이 요망된다.

□ 본고에서는 이들 웨어러블 화학 센서나 바이오 스니퍼에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작 및 응용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유기재료의 할용 예를 제시하고 있는데 국토는 좁고 인구는 많은 우리로서는 21세기를 맞아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우리 국민의 행복한 복지 생활을 이루기 위해 이러한 프로젝트 기발에 전력을 투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젝트에는 복합 학문적 성격이 크므로 전자, 유기재료, 무기재료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 아래에서 이루어져야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저자
Kohji Mitsubaya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25(3)
잡지명
기능재료(D323)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4~41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