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 나노재료와 유기소재의 융합에 의한 환경검출과 복원

전문가 제언
□ 탄소 나노튜브(CNT), 플러렌 등 나노탄소 소재의 특이한 구조와 물성이 보여주는 다기능성은 환경소재뿐만 아니라 평면표시 소자, 고집적 메모리 소자, 이차전지, 초고용량 커패시터, 수소저장물질, 고강도/초경량 복합재료, 정전기 제거 복합재료, 전자파 차폐물질 등 다양한 응용성을 제공한다.

□ 환경소재로서의 CNT는 가스와 접촉 시에 특히 이산화질소에 민감한 것으로 밝혀져 자동차 배기가스를 검지할 수 있는 고감도 가스센서로서의 가능성도 있다. 가스별 선택성과 감응속도의 향상으로 여러 개의 CNT 센서를 한 개의 소자 위에 장착하여 복합적 후각센서로서의 실용화도 기대할 수 있다.

□ CNT의 기능 중에서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것은 에너지 저장소재로서의 기능이다. CNT는 경량이고 높은 전도도와 화학적 안정성 및 큰 비표면적 등 전극소재로서의 매우 우수한 물성을 지니고 있다. 연료전지 , 이차전지, 초고용량 커패시터, 수소저장 등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의 필수 소재로 등장할 전망이다.

□ 본고는 CNT 및 탄소소재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검출, 포집, 처리에 관한 이용분야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고 있다. CNT 및 CNF와 같은 나노탄소 소재와 유기물질의 융합으로 새로운 기능이 생기거나 선택성 및 검출감도가 크게 향상됨을 밝히고 환경 소재로서의 실용성을 제시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나노기술이 국책연구과제로 선정되면서 그 일환으로 나노탄소 소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정보통신, 신소재, 에너지 및 환경, 의약 및 보건 등 21세기의 선도적 기술의 핵심이지만 산업적 응용성에서 나노탄소 소재에 거는 기대가 가장 크다. 집중과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이 분야의 연구는 별도의 국책과제로 선정하여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저자
Shunitz Tanaka ; Norifumi Terui ; Bunshi Fuget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5
권(호)
5(2)
잡지명
미래재료(J4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13
분석자
윤*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