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슐린 수용체 시그널전달인자의 발현조절기전(Expression of insulin receptor and its signaling molecules : regulatory mechanisms in neuronal cells)

전문가 제언
□ 적어도 3천만 명의 환자들이 세계적으로 당뇨병으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적절한 치료방법이 확립되지 않아서 특히 저개발국가에서 이 질환이 증가 일로에 있으며 생명이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 1985)의 보고에 의하면 미국 같은 치료법이 우수하다는 개발 국가들에서도 암이나 교통사고보다도 그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위 제2형 당뇨병은 개발국의 지방이나 저개발국가의 생활의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각한 질병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현대약물치료의 엄청난 비용 때문에 다른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 타이프 2 당뇨병에서 지방, 근육, 간에서의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은 이 질병의 발병병리의 중요 증상이나 아직도 그 기전은 불명한데 최근 생체 내 연구에서 인슐린 수용체의 기질인 IRS-2, protein kinase B, fork head transcription factor Foxola의 이상이 인슐린저항성의 원인이 되며, 지방조직이 인슐린저항성에 기여하는 유리 지방산을 생산할 뿐 아니라 인슐린 시그널을 조절할 수 있는 mediator인 adipokinase를 생산하는 내분비기관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과혈당이 지방조직의 H2O2 생성을 촉진하며, 인슐린 시그널 변환을 증진시키며 polycystic ovary syndrome 환자에서 인슐린 시그널 경로의 장애를 유발하는 IRS-2의 티로신 인산화의 감소가 인슐린 저항성으로 유도하는 기전의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 당뇨병은 그 자체보다도 만성화에 수반하는 여러 가지 합병증이 유발되는 것이 더 심각한 난치성 질환의 하나로서 그 발생기전은 당뇨병으로 고혈당이 유지되면 당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수정체, 신장, 신경세포, 적혈구, 망막 등에 당의 이상 대사물인 sorbitol의 축적이 일어나고 여러 가지 대사이상이 발생하여 합병증이 유발된다. 따라서 당뇨병을 고려할 때 그 합병증의 발생과 진전기전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합성유도체가 연구되어 sorbinil과 같은 우수한 후보물질들이 도출되었으나 임상단계에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유발되어 신약개발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독성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신물질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남아 있다.
저자
Hiroki Yokoo ; Takashi Sugano ; Shinya Satoh ; Toshihiko Yanagita (etc.)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125(3)
잡지명
일본약리학잡지(F15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41~146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