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rehalose의 새로운 기능과 특성

전문가 제언
□ 사막식물인 Selaginella lepidophylla가 건조한 사막에 서식하는 비결은 이 식물이 체내에 trehalose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Dr. Roger 등이 밝혀졌다. 이 물질이 세포표면을 감싸 세포의 탈수현상을 막아 주므로 식물세포가 탈수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생존한다는 것이다.

□ Trehalos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전분당으로, 식품 · 화장품 · 의약품 등의 보습, 품질개량, 안정제 등으로 이용된다. 이 물질의 특성을 처음 확인한 Dr. Roger는 단일클론항체의 활성을 안정화시키려고 이 물질을 제조공정에 투입 처리함으로써 활성의 손실을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그는 Quadrant이라는 벤쳐를 설립해 생약제제 · 항체 · 효소 · 적혈구 · 탄수화물 등의 안정성 향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의 Hayashibara에서 건강식품 소재로 개발한 trehalose와 maltosyl trehalose를 함유한 물엿은 상품화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 문제는 trehalose가 효능을 발휘하려면 개발제품의 10~30%에 상당하는 과량을 첨가해야 한다. 그러나 trehalose가 고가이므로 제품개발에 활용하려면 제조원가를 낮추어야 한다. 지금까지 trehalose의 생산은 효모에서 추출해 왔으나 trehalose합성 유전자를 효모균에 도입하여 발효생산하거나, 커피 · 과일 등의 식물종자의 유전자를 조작해 식품의 품질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일반적으로 전분당(starch sugar)은 설탕에 비해 갈증을 덜 느끼게 하므로 비상식이나 우주식 등에 당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식품가공 시 미리 trehalose를 첨가해 가공하면 방향성분의 손실이 크게 억제되므로 커피 등의 방향물질 제품개발에도 크게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Kubota Mich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47(3)
잡지명
New food industry(A0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7~29
분석자
임*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