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솔방울 리그닌의 안전성

전문가 제언
□ 페닐프로파노이드의 중합체와 다당으로 이루어진 리그닌은 세포벽의 한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육상의 고등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어 생성되는 원천 식물에 따라 구조에 차이가 있다. 특히 목재 리그닌은 산업발달에 의해 종이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펄프제지 공정에서 불순물로 분해 제거되어 심각한 공해문제가 되고 있었으나, 최근 항바이러스와 항변이원성의 효과가 알려지면서 리그닌에 대한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대부분이 합성물질로서 사용 시에 조혈 및 면역기능에 이상을 가져오며 암세포 외에 정상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는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 이 때문에 이번에 인간게놈의 해석과 유전자해독 그리고 SNP 등 특이적이며, 선택적인 암 발생 원인의 근원적 치료에 대해 유전학적인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이제 시작에 불과한 이러한 방대하며 장시간을 요하는 연구에 앞서 최근에는 그동안 예로부터 특히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서구에서도 허브로서 섭취되어 온 생약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항암력이 뛰어난 항종양성 신물질을 찾는 연구가 선진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식품을 비롯한 각종 천연물에 항변이원성 물질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천연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의 검색과 작용기작에 대한 연구도 함께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목재에서 유래하는 리그닌 또한 같은 맥락으로서 항변이원성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각종 식물 유래의 리그닌의 작용기작에 대하여 종합적이며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66%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임야를 활용하는 의미에서도 현재의 목재를 제지용으로 활용하고 보다 유용한 임목을 식재한다면 여기서 얻을 수 있는 리그닌의 양 또한 막대하리라 추정된다. 이 경우 현재와 같은 펄프제지공업에서의 화학적인 공정(크라프트 공정)보다는 리그닌을 분해하지 않고 회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 또한 새로운 연구 분야가 될 것이다.
저자
Sakagami Hir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47(3)
잡지명
New food industry(A035)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55~62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