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구마 경엽에 함유된 폴리페놀류의 약리작용

전문가 제언
□ 일본에서는 세계적 식량부족 또는 농산물자원의 유효이용이라는 관점에서 오키나와 농업연구센터를 중심으로 다년간 고구마 지상부의 유효이용에 목적을 두고 잎에 함유된 폴리페놀류의 화학적 특성과 그 기능성과 관련된 약리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현재 밝혀진 고구마 잎에 함유된 폴리페놀류는 caffeic acid (CA)유도체로서,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dicaffeoylquinic acid, tricaffe- oylquinic acid(triCQA) 등이 분리 동정되고, 그 기능성이 제시되었다.

○ 이들 CA 유도체 성분들의 항산화 활성과 여러 가지 인체 배양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작용 등 다양한 약리활성이 밝혀졌다. 특히 3,4,5 -triCQA 성분의 에이즈 바이러스(HIV)의 증식 억제작용도 발견되었다. 아울러 항당뇨작용으로 인슐린분비 촉진작용, 합병증에 관여하는 aldose reductase의 효소활성 저해 효과, 그리고 직접 고구마 잎의 혈당저하 효과도 제시되었다.

○ 그러나 이들 실험적 결과들은 공인된 기능성 입증을 위한 효능연구로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부 동물시험이 있으나 대부분 in vitro 결과로서 앞으로 보다 많은 동물시험을 통한 효과 검증과 더욱이 사람 개입 시험을 통한 임상적 증거 제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그 동안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고구마 부위별 영양 및 항산화성분 연구가 추진되어 고구마의 잎과 끝 순의 활용이 권장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소재재로서 적극적 개발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 일본에서는 고구마 잎의 다량 생산을 목적으로 비닐하우스 내에서 반복적 수확하는 재배법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잎으로부터 폴리페놀 성분의 대량 추출분리 기술개발이 개발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용도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고구마의 괴근 위주의 생산이나 용도 개발뿐만 아니라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고구마 잎의 활용도 개발을 위한 더욱 발전적 연구개발이 기대된다.
저자
Yoshimoto Mak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5
권(호)
48(6)
잡지명
식품공업(A034)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9~75
분석자
남*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