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 오염 문제와 일본의 과제(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contaminated soil issues)
- 전문가 제언
-
□ 대기, 수질 환경에 이어서 토양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토양 환경은 지하수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특성상 유해물질을 장시간 방치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인체 혹은 동식물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된다.
□ 우리나라의 토양 오염은 주로 광산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이나 농약 살포 등으로 토양 속의 중금속 등이 사람 · 가축 · 농작물에 유해한 특정 물질로서 높은 농도로 집적 · 축적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대개 유해 성분 관리에 사전 대비하지 못한 데서 초래되었으며 중금속 성분의 관리가 중요함을 일깨워 준 사례라 할 수 있다.
□ 토양오염방지법은 농경지의 토양 오염만을 규제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앞으로 비경작 용지에 대해서도 법적으로 규제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토양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농약 처리 방법을 개선하거나 미생물적으로나 화학적으로 잘 분해되고 2차생성물이 유해 작용을 하지 않는 농약을 서둘러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원문에서도 기술된 바와 같이 토양 오염의 예방과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양질의 기술 인력의 양성과 훈련이 요구된다. 즉 국토 환경 보전의 중요성은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으나, 환경 보전에 필요한 실무를 담당할 양질의 인력도 불가결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 저자
- Yasushi HOG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5
- 권(호)
- 34(2)
- 잡지명
- 환경기술(G25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9~114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