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에 대한 일본의 낙뢰 보호 기술 과제
- 전문가 제언
-
□ 통신선이나 전원선 안테나 등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전기설비에서는 낙뢰의 침입구와 출구가 확보됨으로써 낙뢰에 의한 장해를 받기 쉽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전기설비에의 낙뢰 전압의 침입 관측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낙뢰피해의 원인을 구명할 필요가 있다.
□ 고도정보화사회에서 정보통신회로의 정지나 정보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전압에서 동작하는 정보통신회로의 효과적이고 종합적인 낙뢰피해 대책의 확립이 중요하다.
□ 종래에는 낙뢰피해의 보호 기술로 낙뢰 서지, 서지방호장치, 접지만으로 보호하였으나, 근래에는 전기설비에 낙뢰 전압의 침입을 관측하여 구체적으로 낙뢰피해의 원인을 구명함과 동시에 명확한 대책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보호레벨이나 보호영역 등을 IEC규격에서는 구체적인 레벨의 수치를 규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100% 보호한다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보호의 확률을 높일 수 있는 이론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낙뢰는 어느 곳에 언제 발생할지 전혀 알 수 없다. 현 단계에서 낙뢰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낙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를 탐지하여 낙뢰지점을 표정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의 표정 정도(標定精度)를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Takehiko TAKAHA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17(11)
- 잡지명
- 전자환경공학정보EMC(F2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9~27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