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조화형 하이브리드발전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근년에 각국에서는 지구 환경 문제가 높아지는 것을 고려하고 새로 에너지 절약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교토선언문이 각국에서 채택되어 환경조화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일본의 세계무역센터 빌딩에서는 설비 교체 시에 열원기기 등을 고효율기기로 새롭게 바꾸고 에너지 절약의 제3단계로 열병합발전 시스템과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조합시킨 환경조화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그 도입효과를 검토하였다.
□ 이 빌딩은 피나는 노력으로 에너지 절약에 노력하여 4년간의 운전 마지막 해에 그들이 설정한 원단위로 8.5%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물론 이 빌딩은 임대 전용 빌딩으로 임대인의 취향으로 인하여 에너지 과소비 요인이 있는 것도 감안하고 계산되었으면, 그 효과가 더욱 명백해질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한 것은 아쉽다. 그러나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탄산가스 발생을 억제한 친환경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대형 임대형 빌딩에 환경조화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채용한 것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탄산가스에 대하여 2008년이면 교토의정서가 실행되며, 우리도 이제는 최소한 2013년에는 교토의정서를 받아들여야 할 처지이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탄산가스의 발생을 적극 줄여야 할 단계에 있다. 에너지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탄산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또한 도시지역에서는 도시의 미관을 고려하여 열병합발전과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결합시킨 환경조화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적극 발전시켜야 할 단계에 있다. 특히 새로 지어지는 고층 다목적 빌딩의 옥상에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의무적으로 설치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시점이다.
- 저자
- Ishikawa Tosy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57(2)
- 잡지명
- 생산과 전기(A0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2~38
- 분석자
- 양*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