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낙뢰 대책
- 전문가 제언
-
□ 현재 IT사회 구축에 필요한 넷 비즈니스 사업자의 서버와 라우터 등을 담당/운영하는 데이터센터가 주목받고 있어, 데이터센터의 환경이 높은 신뢰도를 갖출 수 있도록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되어 있다. 데이터센터의 IT장치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낙뢰 보호영역을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건물 내부영역의 각각의 경계에 SPD를 설치함으로써 단계적으로 과전압과 과전류레벨을 낮춘다. 이처럼 각각의 경계에 설치된 SPD에 의해 다음 단계의 SPD로 침입하는 서지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SPD는 보호영역의 단계 또는 전압 방호레벨에 따라 선정된다. SPD 전압 방호레벨은 다음 단계의 SPD 또는 IT장치 순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선정한다.
□ 이단 접속된 SPD로 보호되는 IT장치에서 SPD가 협조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SPD1의 출력 방호레벨이 SPD2 또는 IT장치의 입력내력레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SPD는 1개의 이상의 비선형 전압 제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블랙박스화되어 있어 SPD 간의 협조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다룰 수 없으며, SPD 제조업자가 권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 최근 낙뢰 방호에 관한 관련 규정인 IEC에 의해 건축물 등의 낙뢰 보호, 전자임펄스에 대한 보호, 건축전기설비/기기, 접지극, SPD, SPD용 부품에 대한 일련의 규격이 차례로 제/개정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규격에 적합한 설비를 갖춤으로써 완벽한 낙뢰 방호 대책이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규격이 사양규정에서 성능규정으로 변경되고, 서비스의 품질과 신뢰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표시/측정하기 위한 하나의 지표로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제안하는 추세에 맞춰, 향후에는 데이터센터의 낙뢰 피해 감소를 위한 규격을 엄격히 적용하여, 데이터센터의 서비스 품질과 신뢰성을 고려하는 종합적인 낙뢰 피해 대책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Hidetaka SA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17(10)
- 잡지명
- 전자환경공학정보EMC(F20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9~46
- 분석자
- 양*승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