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전력 자유화와 전력업계의 동향에 대해서
- 전문가 제언
-
□ 최근 들어 세계 각국에서는 전력산업 구조 개편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종래 전력사업은 발전, 송전, 배전/판매 부분까지가 일체로 이른바, 수직 통합형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해서 발전해 왔으며, 일반적으로 이제까지는 이와 같은 수직 통합 운영체제가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시스템으로 받아들여져 왔던 것이다.
□ 그러나 1980년대부터는 전력 수요 성장의 안정화와 전력 수용망의 성숙화, 에너지 공급에서의 공급 신뢰도의 향상,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그 중에서도 정보통신 기술의 경이적인 발전으로 그 동안 수직 통합형태를 유지해온 전력사업도 경쟁을 통한 시장 거래가 가능하게 되었다.
□ 일본에 있어서 2000년 3월부터 완전한 전력자유화 대신에 부분 자유화의 길을 택하였고, 그 시행에 앞서 전기사업의 참여규제의 완화, 요금규제의 재검토 등 사전에 처리해야 할 문제점들을 수년 전부터 많은 전문가를 동원해서 공개적인 심의를 통해 단계적으로 하나하나 해결하였고, 이 부분 자유화에 있어서 3년간이라는 검증기간을 두어 3년 후에 시행 결과를 검토해서 다시 다음 단계의 추진방안을 검토한다는 식으로 아주 신중하게 추진하고 있다.
□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는 처음부터 완전히 전력자유화의 실현을 위해서 강력한 정부 주도의 상의하달식 방법으로 일사불란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전력산업이라는 기간산업을 근본적으로 이러한 정부 주도방식에 따라 계획하기 위해서는 우선 무엇보다도 국민을 충분히 납득시킬 수 있는 명확한 비전과 구체적인 청사진의 제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더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 저자
- Arakawa Hir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5
- 권(호)
- 57(2)
- 잡지명
- 생산과 전기(A0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9~45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