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2004년 전력기술혁신의 발자취-세계 전기사업의 동향

전문가 제언
□ Kyoto기후협약발효 이후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응,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지역에서의 에너지수요의 급증이나, 세계적인 원유가격의 상승에 대응하여 에너지의 안정공급과 지구온난화를 방지하는 현실적인 수단으로써, 원자력발전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으며, 에너지소비실적에서 원자력의 비율은 미국 7%, 유럽 13%, 일본 10%, 우리나라는 13%를 차지하고 있다.

□ 현재 우리나라의 전력은 원자력이 40%를 점하고 있으나, 2015년에는 44.5%를 목표로 건설과 계획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지역 등에서는 신규건설은 전혀 없고, 도리어 폐쇄기수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기존시설로써는 안전성과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에서 탈원자력현상이 야기된 것으로 본다.

□ 따라서 원자력플랜트의 안전 · 안정운전의 확보나 경제성 향상의 관점에서 운전 중인 플랜트의 고경년화 대응과 발전량 증대기술의 개발, 또는 신규건설플랜트는 신뢰성과 경제성 향상 및 혁신적인 안전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하여 최첨단 차기 · 차세대원자로의 개발이 중요하며, 안정운전유지와 경제성 향상을 위한 운전유지비의 조기회수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 차세대 청정에너지로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기술로써 태양광발전시스템기술의 개발 · 추진이 필수적이다. 또한 분산형 전원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현재 풍력발전 등이 극히 일부 이용되고 있으나, 금후에는 분산전원용MHD(Magneto Hydro Dynamics : 자기유체역학)발전 등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Takai Mik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5
권(호)
90(2)
잡지명
전기평론(D076)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7~17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