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식형 의료기기의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

전문가 제언
□ 전자기기 및 의료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동물 실험 연구, 지원자 실험 연구, 역학 연구 등을 통해 전자파가 생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전자파의 인체 유해 여부 등에 대한 논쟁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 이미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많은 국가들은 전자기장 노출에 대한 한계치를 법제화하고,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자국의 기술 장벽에 의한 이동통신기기의 수입을 막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제기구에 의한 인체 보호기준을 제정하고 있으며, 각국은 이 국제 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을 자국의 기준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 전자기장의 인체 영향에 대한 연구는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초반부터 일반인의 관심이 높아져 유무해 논쟁 및 관련 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부터 전자파의 인체 영향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2001년에 정보통신부는 전자파의 노출에 대한 인체 보호기준을 고시하였다.

□ 국제보건기구에서는 국제 EMF 프로젝트를 통해, 2003년에 정전 자기장과 ELF 전자기장에 대한 건강영향평가서를 발행했으며, 2005년에 RF 전자기장에 대한 건강영향평가서를 발행할 계획이다. 의료기기로부터의 전자파 간섭 문제를 꾸준히 연구 개발해야 할 것이다.
저자
Hiroshi FUJI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5
권(호)
88(2)
잡지명
전자정보통신학회지(A104)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80~84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