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규칙성 나노 공간의 특이한 촉매성능과 기능(Unique Catalytic Activity and Functions of Inorganic Mesoporous Materials)

전문가 제언
□ MCM-41은 메조 다공체(mesoporous)의 실리카 촉매로서 열린 관통형의 기공 구조가 규칙적으로 발달하여 물질 전달이 매우 용이하다. 그러나 수열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물이 존재하거나 높은 온도에서 반응을 진행할 경우 기공 구조가 무너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키 위하여 현재는 여러 가지 개질과 변형을 통하여 획기적인 개선을 이룩하여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 특정의 절대 배치를 갖는 키랄 분자를 촉매적으로 만드는 것은 생체에 있어 필수적이며 효소 반응 이외에서는 일반적으로 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급속히 진보를 보이고 있는 부제 합성 연구는 효소까지도 초과하여 일반성이 높은 광학 활성 키랄 분자를 화학적으로 제조함으로써 현대 유기화학 중에서도 도전할만한 연구 영역으로 되어 있다.

□ 부제 합성 연구는 효소에 비해 훨씬 적은 간단한 유기분자로 반응장(부제 공간)을 만들어 각종 전형 및 전이 금속의 특성을 이용해 다양한 부제촉매를 합성해서 이를 사용하여 종래에는 라세미체 밖에 얻을 수 없었던 탄소-탄소 결합, 탄소-헤테로 원자결합, 산화 및 환원 등의 반응을 부제화하여 광학활성 키랄 분자를 자유로이 나눠 만들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는 데 있다. 이들은 유기화학에 있어서의 새로운 기초 연구 영역을 형성하여 차세대의 의약 및 기능재료 개발로도 이어갈 것이다.

□ ‘나노 공간 촉매화학/기능화학’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존재하는 것과 그와 같은 분야를 새롭게 여는 것이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들 성과를 더욱 발전시키면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했던 고체 촉매에 의한 부제 합성, 균일계를 초월하는 초 선택적 불균일계 촉매 반응 및 메조 구조에 기초한 새로운 광 · 전기 · 자기물질의 제작, 신규 특성을 가진 흡착제나 이온 교환체의 개발 등, 기초 및 응용 양쪽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Masakazu Iwa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6(3)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9~173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