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층상 코발트 산화물계 열전 변환재료의 고성능화(Improvement of Functonality on Thermoelectric Layered Cobaltites)

전문가 제언
□ 최근 초전도 및 저온 기술 발전에 의해 전도냉각식 전도자석이 개발되어 일반 연구실에서도 액체헬륨 없이 10T 정도의 실온 강 자장의 환경을 얻을 수 있으며, 자장 배향법도 비교적 쉬운 재료 제작공정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 발생 자장이 Bore 경 150㎜이면서 자장 중심에서 8T 정도이면, 지금까지 비자장으로 보아왔던 일반 자성체나 반자성체에서도 자기 이방성에 의해 배향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즉 결정립을 코로이드공정에 도입하여 슬러리를 자장 하에서 치밀화 처리를 하게 되면 자장 배향 다결정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지구를 살리기 위한 해결방안으로 Kyoto 의정서가 발효되어 선진국에서는 2010년의 2산화 탄소 배출량을 1990년에 비해 6% 감소시킬 것을 의무화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산화탄소 배출감소를 위해 2산화탄소의 흡착 및 전환이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나, 일부 식품산업에서 회수사용 되고 있을 정도로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그러나 공장에서 대기 중으로 발생되는 막대한 폐열을 전기에너지 직접변환 폐열발전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2산화탄소 배출감소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어 앞으로 크게 기대가 된다.

□ 고온 폐열발전용 열전 변환재료로 미스피트 층상 코발트 산화물은 강 자장을 사용한 신규 배향화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고기능화 재료이면서, 화학적 안정성도 높은 자장 배향용 재료물질이다. C축 자화용이 축을 갖는 Ca349상에서는 배향 진행방법이 양호하였으며, 특히 대형화에 있어 기계 배향에 대신할 수 있는 배향화 방법이었다. 그리고 배향화에 사용된 코로이드공정과 자장공정의 병용은 후막 등으로의 전개를 가능하게 하였고, 고출력 밀도를 갖는 열전 발전 모듈 제조에서의 적용 가능성도 보이고 있어 앞으로 기능화재료로 기대가 된다.
저자
Shigeru Horii ; Jun-ichi Shimoyama ; Kohji Kish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56(3)
잡지명
화학공업(A02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8~194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