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열필름의 FPC로의 응용 전개(High Thermal Resistance Film(PEN Film)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Application)

전문가 제언
□ PEN은 1945년 PET 수지의 발명자인 영국 ICI사에 의하여 발명된 오래전부터 알려진 수지이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상업화된 것은 1990년대로 활용 측면에서는 최신의 수지라 할 수 있다. 1971년 일본 Teijin사는 소량이지만 원료로부터 일관 생산하여 연신필름으로 상품화하였다. 그러나 용도적으로 아직은 시기상조이어서 생산을 중단하게 되었고, 1990년이 되어서야 PEN 필름을 생산하게 되었다.

□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는 원료 NDC(2,6-나프탈렌 디메틸 카복실레이트)가 없었기 때문에 PEN 상품 개발에 최대 걸림돌이었으나, 1995년 Amoco사(현 BP사)에 의하여 연산 27,000톤 규모의 공장이 건설되어 본격적으로 각사가 PEN 개발에 참여하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후 얼마 동안은 PEN 수지의 상품 개발이 붐을 이루었으나, 품질과 특성에 비하여 가격이 높아 다소 침체화 되었다. 그러나 각 용도에서 착실히 상품 개발이 진행 중에 있고, 금후 계속적으로 확대가 기대되는 수지로 주목받고 있다.

□ PEN의 이용 분야로 주목받는 것은 대표적으로 필름, 섬유, 포장 · 용기 재료이다. 섬유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레이온 타이어 코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자원의 보호 · 생산의 환경적 측면으로부터 PEN 섬유로 대체하려하고 있다. 용기재료 분야에서는 맥주를 중심으로 리터너블 보틀로 확대되고 있고 포장재료인 열 성형 시트 등에서도 투명성, 내열성, 내약품성, 기체 차단성 등이 발휘되는 공업 분야로 확대 적용이 기대되고 있다. 필름은 섬유나 수지 성형품에 비하여 가격 격차가 적어 내열성, 치수 안정성이 필요한 전기전자 등 산업 분야로 양적인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국의 경우 국책 과제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폴리에스테로 메이커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가공 및 용도 전개뿐만 아니고 경쟁력의 핵심 부분인 원료 분야에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연구 개발이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저자
Tetsuo Yoshi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5
권(호)
34(3)
잡지명
Fine chemical(E40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2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