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용 필름 및 용기의 고기능화
- 전문가 제언
-
□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보관 식품에 대한 이용의 증가와 유리 기구 자재의 플라스틱화에 따라 포장 재료에도 커다란 변화가 오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도 충분히 가능한 기술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재료 기술과 보관 기술이 함께 발전하는 것은 사실이다.
□ 식품 보관에 관하여도 크게 동양과 서양에서 사용하는 재료 및 보관 내용에 큰 차이가 있고, 같은 동양권에도 일본과 우리나라가 서로 다른 종류의 식품을 보관하듯이 보관되는 식품 내용도 나라마다 차이가 많이 있다. 지금까지는 일본을 중심으로 포장 재료가 발전했으나, 앞으로는 한국,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 커다란 시장이 형성될 것이다.
□ 라미네이트 공법으로 공압출, 사출성형 및 블로성형 등은 제품을 대형화하고 균일한 품질을 얻는 데는 장점이 있으나 설비에 대한 투자나 유지 및 관리비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반면 PVD, CVD 및 코팅방법으로 분류되는 2차 가공방법은 설비가 소형이고 소량 다품종을 생산하는 데는 매우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 이곳에서는 아주 간단히 취급하고 있으나,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기 위하여 나노 입자를 이용하는 연구/개발이 미래의 새로운 포장 재료로 부각될 것이다. 현재도 포장 재료는 많은 발전을 지속하고 있으나, 나노 입자의 이용에 대한 응용도추가하여 제품을 개발한다면 더욱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 저자
- Tadahiko Kats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5
- 권(호)
- 51(3)
- 잡지명
- Plastics age(D0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9~104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