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바이러스 핵단백질의 성숙기구와 생물활성(Processing Mechanisms and Biological Functions of Hepatitis C Virus Core Protein)
- 전문가 제언
-
□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의 감염으로 많은 사람이 간암(肝癌)으로 사망하고 있는데 이는 가장 어려운 난치병 중 하나로 영장류 이외의 실험동물이나 세포 배양계의 HCV를 효과적으로 실험할 수 있는 생체 내 실험단계 확립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아서 더욱 HCV에 대한 의료대책에 어려움이 있다.
□ HCV 단백질 중 nucleocapsid를 구성하고 있는 핵단백질(核蛋白質)은 숙주의 신호 펩티다제(signal peptidase)에 의하여 E1단백질의 경계가 절단되어 191아미노산의 미성숙된 핵단백질을 생성하며 그 후 C말단측 신호배열의 막 내 단백질(膜內蛋白質) 절단효소인 신호 펩티드 펩티다제(signal peptide peptidase)에 의해 절단된 성숙형 핵단백질을 이룸으로써 사람 유래 배양세포에서 isoleucine과 phenylalanine을 alanine과 leucine으로 치환하여 완전한 α helix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신호 펩티드 펩티다제에 의한 절단을 억제시킬 수 있는 원리를 적용하면 성숙형 핵단백질 생성을 방해하게 되어 HCV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기전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일본 뇌염바이러스(TEV)는 돼지에 불현성으로 감염하여 JEV의 증식숙주(amplifier host)로 활용되고 일본뇌염은 종말감염의 결과로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적 감염은 없으나 HCV는 핵단백질의 핵 내에서 PA28r이 의존적으로 분해하여 그 분해산물(分解産物)에 생물활성을 부여하고 사람에게만 특화(特化)하여 만성지속감염(慢性持續感染)을 성립시킴으로써 간암을 발증하게 하는 것으로 추측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규명이 요구된다.
- 저자
- Kohji Moriichi ; Yoshio Mori ; Kiyoko Okamoto ; Yoshiharu Matsu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4(2)
- 잡지명
- 세포공학(N2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33~137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