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증식에 관계된 숙주세포분자(RNAi Versus Virus Infection)
- 전문가 제언
-
□ RNA 간섭 기술은 세포 내에 존재하는 RNA의 제어를 통해 명령체계를 바꾸어 질병을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생명공학 기술이며, 개개의 유전자 수준에 대한 분자 효과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RNA 내에 있는 한 정보체계가 정상궤도에서 벗어나 이상 질환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지시할 경우 이를 인위적으로 간섭하여 질병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RNA 간섭의 원리이다.
□ RNA 간섭은 유전자가 발현해 단백질을 생산하는 과정 중 DNA 정보를 단백질 정보로 전달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전령RNA(mRNA)를 파괴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차단한다. mRNA의 제거는 siRNA란 U자형 분자가 mRNA에 결합하면서 시작된다. mRNA가 제거되면 해당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이 발현되지 못하기 때문에 마치 유전자가 자기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침묵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같은 유전자 침묵 기구는 인체에 유해한 단백질 발현을 막는데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 최근 RNA 간섭 현상을 이용한 siRNA 이용은 특정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그 기능을 연구하는데 응용될 뿐 만 아니라 나아가 HIV 등의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나 암의 치료 목적으로도 개발되는 등 매우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 유전자 억제 기술을 인체에 적용하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많다. RNA 단편의 합성, 인체에 주입하는 방법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안전성 문제 등이다.
□ RNA 간섭 기술은 현재 C형 간염과 루게릭병 등 일부 병의 경우 치료 기술이 상당한 단계에 와 있으며, 다른 유전공학적 치료법과는 달리 이 기술은 객관적 검증이 이루어져 머지않은 장래에 보편적인 기술로 자리 잡게 될 전망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당뇨병이나 각종 암들도 정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 저자
- Yoshio Kato ; Kazunari Tai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4(2)
- 잡지명
- 세포공학(N2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5~149
- 분석자
- 백*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