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퇴적물 중 하이드레이트에 함유된 가스의 매장량 평가(Global estimates of hydrate-bound gas in marine sediments: how much is really out there?)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에서는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 약 30여 년 간 수정 보완되어 온 세계 해양 중에 부존 발달하는 메탄 하이드레이트 매장량 평가치를 소개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평가치의 변화를 논의하고 있다.
□ 세계 매장량 평가치는 1970~1980년대 초 기간에는 1017~1018m3,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 기간에는 1016m3, 1990년대 후반~현재까지는 1014~1015m3의 규모로 대략 10년 주기로 최소 한 자리 수의 감소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 평가치의 감소현상은 해양 퇴적물 중에 하이드레이트의 분포와 농집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발전 결과로, 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한 퇴적물의 체적과 가스 함유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산출하려는 노력의 결과와 세계 심해저 시추 프로그램(DSDP/ODP)을 통해 퇴적물 내의 가스 농집 현상을 직접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세계 해양 중에 부존하는 메탄 하이드레이트의 매장량은 21×1015m3 (10,000Gt)으로 지구상 탄소순환의 중요한 구성 성분일 뿐만 아니라 21세기 미래의 청정 에너지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받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는 한국 지질자원 연구원 석유가스자원 연구팀이 실시한 동해 울릉분지 서부 천부 퇴적물에 대한 총 4,782 L-km의 다중 채널 탄성파 탐사결과 하이드레이트 부존을 지시하는 탄성파 BSR을 확인하였으며, 수심 846~2,147m에서 코아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800여개 시료에 대한 총 유기탄소(TOC) 분석결과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성조건인 TOC 함량 0.5% 이상임이 확인되어 하이드레이트 부존 가능성을 확인한 바 있으나, 아직 매장량 확인을 위한 시추탐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앞으로 IODP(통합 심해 시추 프로그램)를 통한 시추탐사를 계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 저자
- Alexei V. Milkov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기초과학
- 연도
- 2004
- 권(호)
- 66
- 잡지명
- Earth-Science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기초과학
- 페이지
- 183~197
- 분석자
- 오*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