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후검토(Postmortem) 고찰-소프트웨어 공학에 있어서 목적과 접근방법(Postmortem reviews: purpose and approaches in software engineering)

전문가 제언
□ 사후검토(Postmortem)란 죽은 사람을 검시하듯이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 실시하는 검토회의로 회의 참가자가 자유로이 의견을 발표하고 프로젝트를 개선해 나가는 방법이다.

□ 지식관리, 개인학습, 조직학습, 지역공동체 실습교육을 근간으로 하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사후검토를 주로 취급하고 연구하고 있다.

□ 사후검토 방법을 보면, Neal Whitten은 사후 프로젝트를 검토를 위해 6단계를 제시했으며, Collison과 Parcell은 과거를 되돌아보는(回顧) 회의를 조직하기 위하여 12단계를 제시했다. Birk 등은 사후검토 회의는 네 단계를 밟는다.

□ 사후검토 방법에서 참가하는 사람, 참가자에게 과제부여 여부, 토의 형태, 결과 제기 형태 들이 다양하다. 또한 사후검토를 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방법, 주선자(周旋者, 促進者)를 두느냐? 두지 않느냐? 하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 한국과 같이 자기 의견을 자유롭게 표시하는데 익숙하지 못한 사회에서 사후검토는 성공 여부를 장담하기 어렵다. 먼저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해도 불이익을 당하지 않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둘째 자기 의사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학습이 이루어져서 회의 시간을 절약해야 하며, 셋째 프로젝트의 목적을 명확히 알고 프로젝트의 전망을 예측할 수 있는 통찰력이 있어야 사후검토를 위한 회의가 성공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직원 전원이 전통적인 동양적 사고에서 벗어나 자유주의 사상에 뿌리를 내려서 기업 목적에 주안을 두고 문제를 해결하는 습관을 길러나가는 문제와 조직 내에서 이러한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하는 문제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저자
Dingsoyr, 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5
권(호)
47(5)
잡지명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93~303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