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 전문가 제언
-
□ Akimov등(1997)이 최근 체계화 한 바와 같이 화관식물의 분류와 진화에 있어서 트리테르펜 배당체의 전반적인 역할에 관한 어떤 일반화된 조건을 내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 개념에 기초한 트리테르페노이드의 발생학적 분류는 트리테르펜 골격의 4종류의 입체화학적 특성이 적용되었는데 스쿠알렌 (squalene)분자가 트리테르펜 핵의 주 조각(fragment)으로 간주되었다. 이 골격의 환상부분의 구조와 입체화학에 따라 트리테르페노이드를 8개의 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것은 oleanane 형의 pentacyclic 골격계이다. 이 시스템은 3형의 트리테르페노이드로 cycloartane, oleanane, lupane을 포함한다.
□ 식물성 성분을 진탕하면 지속성 거품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계면활성물질을 사포닌으로 총칭한다. 사포닌에는 용혈성, 어독성, 스테롤(sterol)과 난용성 복합체 형성능을 갖는 것이 많고 트리테르펜 사포닌의 게닌으로는 oleane 골격이 가장 많다. 이중 게닌중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 당 부위에 글루쿠론 (glucuron) 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히 산성 사포닌이라고 한다. 사포닌에는 거담, 진해, 소염, 해열, 항종양, 배농, 대사기능촉진, 강장, 항균작용 등이 입증된 것이 많은데 정제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은 감초 성분의 oleane 계 사포닌인 글리시리진과 그 사포게닌인 glycyrhetic acid 이며 한방에서는 생약추출물로도 사용된다
□ 따라서 트리테르페노이드는 약용식물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주성분 군의 하나로서 최근 1년 사이에 그토록 많은 다양한 성분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는 것은 진정한 한방 처방의 과학적인 규명은 물론 천연물 유래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높여주므로 그 이용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한방처방의 관점에서 볼 때 사포닌만이 유일한 성분이 아니고 페놀성 성분 등 약효가 뚜렷하게 밝혀진 다른 성분도 많으므로 품질관리나 규격화의 관점에서 보면 사포닌 한 성분 군만으로는 불충분 하며 이외의 성분상들도 포함한 즉, 패턴(pattern) 분석도 필요한 과제로 사료된다.
- 저자
- Connolly, JD; Hill, 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5
- 권(호)
- 22(2)
- 잡지명
- NATURAL PRODUCT REPOR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30~248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